가족의 생활주기 변화에 따라 기존의 주거 공간을 새로운 형태로 재구성하면 한정된 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령 자녀가 생길 경우 어린이 방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지만, 훗날 자녀가 독립하게 되면 이러한 공간은 본 기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새로운 공간으로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주택 평면도에 관한 서적이나 homify에서 제공하는 사례를 통해 유용한 주택 평면도 아이디어를 모아두고 더 나아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더욱 완성도 높은 주택 평면도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주택 평면도의 설계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기존 주거 공간의 구조를 개선하는 리모델링을 위한 평면도, 그리고 신축을 위한 평면도 설계법이 있다. 기존 주거 공간의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라면 현재 거주하는 주택의 공간 하나하나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 가족에게 가장 필요한 공간들은 무엇인지 공간에 우선순위를 매겨보자. 필요에 따라 기존의 벽을 허물어 두 개의 방을 하나로 합치거나 반대로 큰 방을 두 개의 작은 방으로 나뉘는 작업만으로도 주택 전체의 기능과 분위기를 탈바꿈할 수 있다. 신축의 경우라면 기능적 공간들을 동선에 맞게 배치하는 조닝 작업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주택 평면도는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 있을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야 하므로 전문가의 도움과 함께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본격적으로 주택 평면도를 설계하기 위해선 공간의 활용도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공예산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평면의 면적에만 집중하는 것보다 공간을 입체적으로 바라보면 숨은 공간을 활용하게 되므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예산도 아낄 수 있다. 공간에 들어가는 계단과 같은 세부요소 또한 신중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원형 계단의 경우 차지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연로하신 부모님께는 좋은 선택이 아닐 것이다.
주택 평면도 작도 단계에선 수작업보다 컴퓨터 작업을 추천하는 바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오토캐드와 스케치업과 같은 소프트웨어로 더욱 쉽게 평면도를 설계할 수 있다. 컴퓨터 설계도면은 시간을 단축하고 자료 보관이 쉬우며 평면도를 빠르게 입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가 생소하다면 자신이 원하는 대략적인 평면도를 모눈종이에 그려보고 기술적인 부분은 전문가에게 맡기는 방법이 효율적일 수도 있다.
나만의 주택 평면도를 설계할 준비가 되었다면 homify가 제공하는 사례들을 찾아보고 나만의 아이디어 북을 만들어 보세요. 이미 주택 평면도를 설계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경험담과 조언을 공유해주시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