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house, aandd architecture and design lab. aandd architecture and design lab. 모던스타일 거실
L house, aandd architecture and design lab. aandd architecture and design lab. 모던스타일 거실

Firm – Aandd

Architect in charge -Joongkeun Kim

Design team -Sangwoo Gu, Sooyong Hwang, Jaeyoung Kim

Location – 908-5, Unjung-dong,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Korea

Programme -residence

Stie area – 230.3m2

Building area – 114.87m2

Gross floor area -205.89m2

Building scope -2F

Height – 10.4m

Parking -2

Building to land ratio – 49.87%

Floor area ratio – 89.40%

Structure – R.C

Exterior finishing – Red brick, Zinc, Luxteel

Interior finishing – paint on plasterboard

Structural engineer – Harmony Structure and Engineering

Construction – Jarchiv

Design period – May. - Oct. 2014

Construction period – Oct. 2014 – Apr. 2015

L-House 11
Levels – 7 Layers – 4 Lives – Lee's House

7개, 더 정확하게는 11개의 다른 Level로 구획된 평면은, 각각의 서로 다른 생활(Lives)의 Layer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Layer들은 때로 포개지고, 때로 나누어지며 개인과 가족을 매개하기도 하고 자기만의 공간으로 침잠하기도 한다. 다양한 Layer들을 하나의 집으로 엮어주는 외피는 내부와 대조적인 거친 질감과 단순한 형태로 계획하여 서로의 특성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상반된 선호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L house는 여유로운 정취 속의 편안한 벽돌집으로 보이는 외피와, 또 한편으로 현대적인 형태와 깨끗한 공간에 대한 가족들의 다채로운 취향을 담아내는 풍성한 내부공간이 서로 교감하는 집으로 계획되었다.

판교의 단독주택단지는 일률적인 직사각형 필지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필지에서 가장 경제적인 배치는 한쪽으로 외부공간을 몰아두고, 한쪽으로 직사각형 덩어리를 짓는 것이지만, L house는 두개의 덩어리(mass)를 어슷하게 배치해 그 사이를 외부공간들로 채워 넣었다. 사잇공간들로 구성된 외부공간은 한쪽으로 집중시킨 배치와 비교하면 물리적인 규모는 작아졌지만 공간을 둘러싼 거친 벽돌 외피와 다채로운 내부공간이 서로 교감하여 심리적인 경험을 확장시키는 장점이 있다.

내부로 들어오면 가장 먼저 마주치게 되는 공간은 집 전체를 연결하는 높은 계단실이다. 한정된 대지에 다양한 성격의 내부공간을 층층이 채워 넣어야 하는 상황에서 이 공간들을 하나로 엮어줄 수직 동선은 일반적인 계단실보다 중요한 역할을 갖게 되었다. 계단실은 각각의 Layer와 삶(Lives)들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며, 마치 이 집안의 모든 곳을 경계 없이 뛰어다니는 귀염둥이 강아지처럼 누비게 된다. 계단실을 따라 두 개의 자녀방과 안방, 다락방, 옥탑방이 반 개 층씩 올라가는 스킵플로어로 이어진다.

자칫 공간들을 단절시킬 수 있는 폐쇄적 계단실이 되지 않도록, 계단실 동쪽 사이공간으로 여러 개의 창을 뚫어 채광과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계단실 내부에 같은 입면 어휘의 가벽을 세워 빛과 시선을 주고받도록 했다. 수직으로 높은 공간의 최상부에는 천창을 내어 집 전체 중심으로서의 상징성을 주었다. 다채로운 빛과 공기, 시선으로 채워진 공간의 풍성함은 외부와 각 실을 연결하는 계단실에 반외부적 성격을 부여해, 각자의 방으로 들어가는 길이 마치 별개의 집으로 들어가는 듯한 경험으로 느껴지도록 계획하였다.

1층의 거실은 대지 북쪽의 운중천과 그 뒤 청계산의 풍광을 한껏 받아들이도록 전면창으로 계획하였다. 남향보다 이 조망을 감상할 수 있는 위치에 거실을 배치하고 싶다는 건축주의 의견은 실제로 잘 들어맞은 듯 ’요즘은 이 조망을 감상하고 싶어 여느 때보다 일찍 집으로 귀가하게 된다.’고 건축주는 말했다. 개방적으로 계획된 거실과는 반대로 반지층의 서재는 절제와 차분함의 공간으로 차별화 하였다. 짙은 목재 마루와 노출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서재는 사잇공간 중 하나인 선큰마당으로 이어져 작은 툇마루에 앉아 차 한잔을 마시기에도 좋은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두 자녀의 방은 스킵플로어의 단 차이가 방 내부까지 이어져, 같은 공간에서의 바닥 높이 차이로 침실로서의 기능과 작업실로서의 기능을 분리하였다. 아들 방은 두 개의 덩어리 최상부가 만나는 부분으로 서로 엇갈리는 두 개의 경사면이 그대로 노출되어 이색적인 공간감을 선사한다. 안방은 실제 사용 시간이 짧다는 건축주의 의견에 따라 밀도 높게 계획되었다. 방의 절반 이상을 walk in closet으로 계획해 많은 양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고, 실제 사용 면적이 작아진 침실은 높은 층고와 모서리 창을 계획하여 답답하지 않고 외부로 개방감이 느껴지도록 하였다.

전면과 후면 덩어리(mass)의 최상부에는 북측 조망을 즐길 수 있는 옥상과, 남측 햇살을 즐길 수 있는 다락방이 각각 배치되었다. 이 공간들의 활용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경사면이 외부를 향해 높아지게 계획되었고, 이는 역박공이란 독특한 외관으로 이어졌다. 역박공은 빗물이 바깥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역구배를 형성해 외벽면의 오염을 방지하고, 집 중앙부로 모인 빗물은 어슷한 사잇공간들로 모아 떨어지게 하였다.

L-House

11 Levels – 7 Layers – 4 Lives – Lee's House

The project plan with 7 different layers—to be more accurate, the whole plan is composed of 11 levels—are connected with different lifestyles. These layers often overlap each other while creating a bridge between the gaps of family individuals. They are sometimes divided, withdrawing the individuals within their inner space. The contrast between the exterior and interior design is accentuated by the roughly textured facade with a simple form, uniting various layers of the interior. Satisfying both opposing style preferences from different family members, the exterior design turned out to be a comfortable brick house providing a relaxing environment versus the modern interior neatly composed of contemporary forms, the house becomes an harmonious space embracing diverse tastes of each family members.

The detached housing area in Pangyo—a new town near the Seoul—is allocated into similar rectangular sites. The most well-known efficient way of planning these kinds of sites is placing a rectangular mass at one side while leaving the open space on the other side. However, our plan was using the void spaces as the exterior space that appeared by the misalignment between two masses. Although the exterior space physically became smaller, the psychological space experience was able to expand by the interaction of the void spaces between the rough brick solids and interior space.

The tall stairway is the first identification space when entering the L house. This stairway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common area to communicate different interior spaces and situations that are piled up in a limited area. The stairway mediates each layers of lifestyles and energetically moves around the house without borders like the movement of one of the family members, the cute puppy. Along the stairway, there are two children's room, a master room, an attic and a rooftop linked by the skip floor that is half step above.

To avoid the stairway space being isolated, multiple windows are placed on the east wall, which is the west side of the void space. The small windows improve the lighting and protect privacy by blocking the view towards the interior space. The same design vocabulary is used for the inner side of the stairway so that the space would be able to exchange light and bring an opened view. The opened skylight view provided on the high ceiling window symbolizes the center of the house. The rich atmosphere with various light, air, and sight provides the stairway a semi-outdoor space so that each family members can experience their own entrance gates.

The living room on the ground floor is planned with a wide glass skin on the north facade to embrace the local nature with the Woonjung river and Cheonggye Mountain. ’We come home much earlier than before to see this scenery.’ says the clients with a happy face. The clients have initially asked the architects before planning to see the north scenery in the living room. Contrary to the widely opened living room, the library on the semi-basement is a space for silence and moderation. The library is floored by darkly colored wood, using exposed concrete walls that are connected the sunken garden, which is to one of the in between void space with the toemaru—the traditional Korean intermediate space—where people feel good to take a cup of tea.

The different floor level in the skip floor continues to the inside of the children's room, dividing the function of the room into a relaxation versus work space. The son’s room is created by the two masses meeting on the top of each other, exposing two different sloped roofs which provides an uniqueness to the overall space. The master bedroom was designed as a compact space following the client’s demand. More than half of area is planned as a walk-in-closet allowing a huge storage space. The master bedroom is designed with a higher ceiling space with a corner window so that the space doesn’t feel too tight.

The top area of the front and rear mass is composed with a rooftop and attic, where the family can enjoy the north side of the nature view from the rooftop and the sunlight from the south attic.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se spaces, the slopes of the roof is designed higher on the outwards of the central stairway, which consequently created a reverse-pitched-roof. The slopes of the reverse-pitched-roof prevents external contamination by blocking the rainwater flowing outwards from the two masses, and collecting them into the in-between void space.

비슷한 사진

호미파이 - 시공과 인테리어를 한 번에

4.5

호미파이 어플로 다양한 사진들을검색하세요!

무료 어플 다운받기
아뇨,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