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층 평면도: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aoa architects)의 현대 ,모던
< >
1층 평면도: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aoa architects)의 현대 ,모던

제주 쌓은집 Villa Jeju

제주 쌓은집은 이름에서 보이듯이 건축주의 요구에 의해 망원동 쌓은집의 변형이다. 한층 한층 쌓는 기본적인 형식은 유지한 채 제주도라는 지역성에 대응하여 진화된 종種을 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였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제주도만큼 지역색이 강한 곳이 또 있을까? 과연 지중해에 있을 법한 하얀 집을 가져다 놓고선 검은 현무암 돌담만을 쌓으면 제주스러워지는 것일까? 프로젝트는 이러한 단순하고 즉물적인 질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제주하면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쉽게 떠오르는 것들이 있다. 돌하르방, 감귤, 해녀 등은 제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물이다. 공항의 조각물에서부터 초등학교 문방구의 지우개에 이르기까지 제주 도처에 산재한 일상적인 오브제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징물을 건축적 요소로 포함한다면, 로마에 가면 로마의 신들이 건물을 지탱하고 있듯이 제주에 가면 제주의 돌하르방이 건물을 지탱하고 있다면, 지금까지의 다소 관념적이고 현학적 층위에서 윤리성을 전제로 무겁게 논의되었던 지역성 담론에서 벗어나, 약간은 다른 층위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건축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도 기둥은 건축이 다른 인공물들과 구별되도록 하는 결정적인 요소이며, 그러한 연유로 기둥은 역사적으로 시대의 양식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요소로 있어 왔다. 그러한 맥락에서 지역적이고 상징적이며, 일상적이고 가벼운 오브제인 돌하르방, 감귤 등은 제주 쌓은집에서 기둥적 요소로 그 위상을 전환하여 건물을 구성하는 전체의 일부로 수용되는데, 이러한 직설적이고 키치적인 결과는 오히려 대중들에게 쉽고 친숙하게 다가간다.

진입부 일층에 기둥처럼 놓여지는 돌 하르방은 머리로 가볍게 슬라브를 받치는 모습을 가지면서 집의 첫인상을 만들고 출입구 부분에서 사람들을 맞이하는 문주역할을 한다. 반대 편에 놓여지는 원반은 땅과 건물 사이에 살며시 끼어들어가 기하학적 긴장감을 만들어내면서 1층 세대의 방들에 시선적 프라이버시를 확보한다. 마감은 제주 민가나 창고에서 흔히 보이는 현무암 흙벽의 형식을 취해 감귤이 어렴풋이 연상되도록 하였다. 바다쪽으로 면한 입면의 일층에는 현무암 기둥과 늙은 나무가 대조적으로 병치되는데, 주인집 거실공간에 낯설게 놓인 현무암 통석 기둥은 마치 집안에 용암덩어리가 창 사이로 흘러들어온 듯한 착각을 일으키면서 내부공간의 중심을 잡고, 주차장 쪽으로 자리잡은 고목古木기둥은 현무암 기둥과 유희적 장단을 맞추기도 하지만, 이 두 기둥은 건물의 지붕과 테라스의 드레인을 모으는 홈통을 속깊이 품으며 기능적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전체적으로 건물은 고전적 좌우대칭에 층층이 견고하게 쌓인 모습을 가지지만, 일층에 배치된 오브제들로 인해서 다시금 불안정하고 약간은 우스꽝스런 모습까지 보이면서 '쌓은집'의 형식을 전복한다. 제주 쌓은집에서 창이 놓여지는 방식 또한 매우 중요한데, 창은 슬래브의 위에 놓여지기도 하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슬래브에 매달려 있어 건물이 좌우 대칭뿐 아니라 상하로도 대칭으로 읽혀지는 순간, 중력의 방향을 혼동케 하며 마치 장난감처럼 가볍게 부유한다.

바다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위치가 가진 조망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바다 방향으로의 입면을 테라스를 가진 유리면으로 전체를 투명하게 계획하고, 반대편 입면은 테라스 없이 벽돌면을 둔탁하게 둠으로써 건물 자체가 바다를 조망하고 있도록 하였다. 지붕과 테라스의 배수를 위한 홈통을 허공에 노출하고 금속으로 감싸면서 만들어진 일렬로 늘어선 테라스 기둥들은, 시시 각각 하늘의 색을 은은히 반사하며 거실에서의 조망에 시선적 미끄러짐을 더하는 재미를 선사한다. 외장으로 사용된 파스텔톤 오렌지색 벽돌과 흰 스터코의 가로 띠는 제주 구 시내에 근대 시대에 지어진 상투적인 건물들을 연상시키며 친밀하게 다가온다. 평면은 매우 단순한 A’-B-A-B-A’의 형식을 가진다. 엘리베이터와 계단실 등 설비가 모인 A영역을 중심으로 양쪽에 하나씩 다세대 주택이 위치하는 구성이다. 직사각형의 한 공간으로 이루어진 거실 주방공간은 공용 화장실과 현관이 마주보며 두 영역을 분리한다. 거실과 방을 구분하는 벽은 외벽과 같은색의 블럭으로 쌓고 하얗게 칠해진 상부보를 노출하여 외벽에 취했던 입면의 형식을 그대로 따름으로써, 콘크리트를 노출한 천장과 테라조 바닥과 함께, 거실 주방공간에 피크닉 나온 듯한 외부공간의 감성을 불러 일으킨다. 전체적으로 제주 쌓은집은 지역성과 대중성을 합리적 평면에 담아내고 제주의 기후와 여유의 감성을 가진 실험적 다세대 주택이다.

크레딧츠: aoa architects
비슷한 사진

호미파이 - 시공과 인테리어를 한 번에

4.5

호미파이 어플로 다양한 사진들을검색하세요!

무료 어플 다운받기
아뇨,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