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하시는 브라우저는 이전 버전입니다.
호미파이 홈페이지를 가장 최적화된 상태에서 사용하시려면 다른 브라우저를 다운로드해주세요. 아이콘을 누르시면 무료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homify 웹사이트에선 쿠키를 사용합니다. 쿠키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비롯하여 쿠키 사용 거부 및 종료에 관한 안내사항은 homify의 개인 정책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검색을 진행함으로써 homify의 쿠키 사용을 허락합니다.
계속하기
10년 뒤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그때의 경향을 분석하는 일은 사실 비현실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하지만 수많은 전문가가 앞다퉈 미래를 예측하고 명료한 전망을 제시한다. 그럼 2030년의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어떤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을까? 바로 이번 기사는 미래를 향한 건축의 경향과 아이디어 그리고 가능성을 소개하는 글이다. 12년 뒤에 우리 앞에 펼쳐질 주거공간을 상상해보자.
건물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은 다양하다. 건축가의 디자인 의도와 더불어 대지가 처한 인문적 환경이나 물리적인 조건도 형태를 좌우한다. 특히 대지 형태는 건물을 디자인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대지 형태에 따라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지며, 건축법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성한 주택은 도시경관을 이루는 부분이 된다.
내 집 짓기, 시작이 부담스럽다면 작은 집부터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비용과 시공 기간을 고려해본다면 작은 집이 큰 집보다 여러모로 이득이란 점은 부정할 수 없다. 작은 집의 경우 내 집 짓기에서 가장 부담스러운 문제로 손꼽혔던 토지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으며, 설계 및 건축법 측면에서 보아도 큰 집보다 고려해야 할 사항이 현저하게 적다. 지금 당장 큰 그림을 그리기 어렵다면, 작은 그림부터 시작해보자.